
<테마 이슈 정리>
1. 삼성·현대차, 로봇·휴머노이드 전용 배터리 개발 손잡았다

최근 삼성SDI와 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이 손잡고, 휴머노이드 및 로봇 전용 고성능 배터리 개발에 나섰다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현대차·기아와 삼성SDI는 로봇 전용 배터리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연구개발(R&D)을 진행 중입니다. 삼성SDI가 개발한 고용량 배터리를 현대차·기아의 로보틱스랩이 로봇에 적용하여 충전 및 방전 성능, 사용 시간, 수명 평가 등을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협력은 현대차의 휴머노이드 전문 기업인 보스턴다이내믹스에 공급할 배터리 개발로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현재 보스턴다이내믹스의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Atlas)’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경우 1시간도 채 가지 못하는 짧은 작동 시간이 한계로 꼽히고 있습니다. 배터리 용량은 약 3700Wh 수준으로, 실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선 더 작고 가벼우면서 에너지 밀도는 더 높은 배터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성SDI가 개발 중인 고에너지 밀도 배터리를 현대차의 로보틱스랩에 적용해 테스트하고, 로봇에 최적화된 성능을 확보하려는 공동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로봇 전용 배터리’가 따로 필요 이유]

사람처럼 움직이고, 때론 작업을 대신 수행해야 하는 휴머노이드는 일반적인 기기보다 훨씬 더 복잡한 동작을 수행합니다. 여기엔 강한 출력을 순간적으로 필요로 하는 모터가 들어가며, 다양한 센서, AI 연산 칩이 동시에 작동합니다. 그래서 일반 배터리로는 지속적인 고출력 공급이 어렵고, 발열이나 용량 문제로 인한 한계가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즉, 휴머노이드에는 ‘전용 배터리’가 필요합니다. 고에너지 밀도는 물론, 짧은 시간에도 빠르게 충전할 수 있어야 하고, 고온/저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합니다. 이 기술을 누가 먼저 완성하느냐에 따라, 미래 로봇 시장의 주도권이 결정될 가능성도 큽니다.
이번 삼성SDI-현대차 협력은 국내 기업 간 협업이지만, 이 움직임은 글로벌 차원에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테슬라는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에 LG에너지솔루션의 고성능 배터리를 탑재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LG엔솔은 이미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테슬라와 협력 중이기 때문에, 로봇용 배터리 협업 역시 자연스러운 연장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대표적인 로봇 기업 유비테크(UBTECH)가 비야디(BYD)와 협력해 로봇 전용 배터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로봇 배터리 관련주>
1. 한빛레이저(452190)
▶️레이저 가공 주력 업체로 삼성SDI, 현대·기아차에 레이저 제조 장비를 공급해서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2. 엠오티(413390)
▶️2차전지 장비 제조 업체로 삼성SDI에 각형 배터리 조립설비 장비를 10년 이상 독점 공급한 업체입니다.
3. 모티브링크(463480)
▶️자동챠용 전차부품 제조업체로 현대·기아차 하이브리드·전기차의 핵심 전력변환 부품 공급사입니다.
4. 피아이이(452450)
▶️이차전지 및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테스터 장비 업체로 국내 2차전지 배터리셀 3사 및 해외 메이저 2차전지 제조사의 제조 라인별로 차별화된 S/W가 적용된 AI 솔루션을 독점 공급하고 있습니다.
속보는 ⚡️번개맞은뉴스 – 상위2% 주식텔레그램 채널(클릭)
<산불 관련주> 대한민국 역대 최악의 산불 ‘의성 산불’, 서울 면적 절반 태웠다.
<구리 관련주> 구리, 올해 사상 첫 1만2000달러 찍는다! 구리 관련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