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 이슈 정리>
1. 러시아, 우크라이나 곡물수출항 공습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선 공격을 재개하는 등 흑해 곡물 항로를 틀어막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곡물(사료) 관련주들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2022년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흑해의 모든 항구를 봉쇄한 전적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식량 가격이 사상 최고치까지 치솟았습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세계 곡물 수출의 30%, 해바라기유 수출의 6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 글로벌 기후변화에 물 부족 위기
기후변화에 강수량 불균형과 이상고온 등이 극심해지면서 세계적으로 물 부족 사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물 부족 사태와 가뭄으로 인한 글로벌 식량 대란을 준비하자는 의견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곡물(사료) 관련주>
1. 고려산업(002140)
▶️가축용 사료 제조 및 판매업체입니다.
✅관련뉴스
2024/10/15 [특징주]러시아의 ‘우크라 곡물 수출길’ 흑해 항구 공습에 사료株 강세
2023/10/13 [특징주] 우크라이나 곡물창고 공습에 곡물 관련주 들썩(종합)
2022/09/08 [특징주] 고려산업, 푸틴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제한… 글로벌 식량위기 경고에 강세
2. 미래생명자원(218150)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업체입니다.
✅관련뉴스
2024/10/15 [특징주]러시아의 ‘우크라 곡물 수출길’ 흑해 항구 공습에 사료株 강세
2024/09/27 [특징주] 미래생명자원, 글로벌 곡물 공급망 파업리스크…’올스톱 위기’ 비상사태에 ↑
2023/10/13 [특징주] 우크라이나 곡물창고 공습에 곡물 관련주 들썩(종합)
3. 한일사료(005860)
▶️배합사료 생산 및 판매업체입니다.
✅관련뉴스
2024/10/15 [특징주]러시아의 ‘우크라 곡물 수출길’ 흑해 항구 공습에 사료株 강세
2024/03/25 [특징주] EU, 러시아산 곡물 관세 예고…곡물주 강세
2023/10/13 [특징주] 우크라이나 곡물창고 공습에 곡물 관련주 들썩(종합)
4. 신송홀딩스(006880)
▶️간장, 된장 등을 만드는 신송그룹의 지주회사로 해외 곡물 수출입 등 무역업을 하는 신송산업을 자회사로 두고 있습니다.
✅관련뉴스
2024/05/08 [특징주]브라질 폭우에 대두가격 상승전망…음식료·사료주 ↑
2024/05/07 [특징주]신송홀딩스·샘표, 세계 최대 콩 생산국 브라질 홍수에 가격 상승↑
2024/03/18 [특징주] ‘조국 테마주’ 화천기계, 조국혁신당 지지율 따라 동반 상승
2023/08/23 [특징주] 오염수 방류 소식에 널뛰는 소금株…신성홀딩스·샘표 약세
5. 대주산업(003310)
▶️동물용 배합사료 제조 및 판매업체입니다.
✅관련뉴스
2024/05/08 [특징주]브라질 폭우에 대두가격 상승전망…음식료·사료주 ↑
2024/01/18 [특징주] 곡물주, ‘후티 반군’ 홍해 사태에 일제히 급등
6. 팜스토리(027710)
▶️사료사업, 육가공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로 육가공 전문업체 마니커에프엔지의 최대주주입니다.
✅관련뉴스
2024/01/18 [특징주] 곡물주, ‘후티 반군’ 홍해 사태에 일제히 급등
2023/10/13 [특징주]곡물株, 우크라 남부 등 곡물시설 공습 소식에 강세
7. 한탑(002680)
▶️제분사업(소맥분)과 사료사업(배합사료) 등을 영위하는 업체로 현재 환기종목 입니다.
✅관련뉴스
2023/07/20 [특징주]사료주, 러시아 협정 탈퇴에 이틀째 강세…한탑 13%↑
8. 누보(332290)
▶️비료 제조 및 도소매 업체입니다.
✅관련뉴스
2023/12/08 [특징주] 중국 화학비료 원료 수출통제에 관련주 상승(종합)
2023/10/13 [특징주]곡물株, 우크라 남부 등 곡물시설 공습 소식에 강세
2023/07/17 [특징주] 누보, 흑해 곡물협정 기한만료에 강세… 경농·효성오앤비↑
<테마 투자 포인트>
곡물 테마주는 2022년 러-우 전쟁 발발시 굉장히 핫했던 테마입니다. 러-우 전쟁에 이스라엘 전쟁, 그리고 항만 노조 파업 등 식량 공급에 차질이 생길 때마다 반응하는 테마입니다. 이슈가 잦은 테마이지만, 테마 전체적으로 시총이 작고, 2022년 이후 일봉이 매우 지저분하게 윗꼬리를 말고 떨어지는 모습이 많이 보입니다. 이런 종목의 경우 이슈가 생겨서 주가가 오르더라도 이미 앞 봉에 윗꼬리가 많기 때문에 주가가 쉽게 오르지 못하고 다시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마의 종목이 전체적으로 우하향하고 있는 상황이라 중장기적으로 투자하는 관점보다는 이슈가 생겼을 때 치고 빠지는 데이 트레이딩(day-trading) 관점으로 접근해야 승산이 있습니다. 단, 급등할 때 진입하면 급락을 맞을 확률이 매우 높으니 주의해야 합니다.